3.1 공정 폐기 가스 수집 및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검출
- 1) 공기 샘플 채집 시기는 대장균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경우 대량배양을 시작한 후 4~8시간 사이, 효모의 경우는 대량배양 시작한 후 12~16시간 사이로 권장한다. 이 시점에 많은 부유 미생물이 발생하며, 이를 통해 폐기처리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.
- 2) 밀폐이용시설의 폐기가스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, 폐기가스 최종 배출구에 air sampling pump(그림 1)을 이용하여 0.45 ㎛ 기공 크기의 membrane filter에 2분간 3L의 공기를 통과시킨다. 실험오차를 줄이기 위해 3반복 샘플 수집을 권장한다.
- 3) 필터의 공기 접촉면을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선발표지 유전자 해당 항생제(kanamycin 등)를 첨가한 각 미생물별 최적 고체배지에 올려놓고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절한 배양온도에서 적정 생장 시간 동안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(그림 2).
- 4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

- 그림 1. Air sampling pump 예시(Mini Pump, Personal Air Sampler, SIBATA, Japan)


- 그림 2. 폐기가스 샘플 필터 배양 예시
3.2 공정 폐기물 수집 및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검출
- 1) 밀폐이용시설에서 이용된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폐기처리는 일반적으로 고온 멸균 및 화학적 처리 등을 통해 진행된다. 멸균처리 후의 폐기물 20㎖를 3반복으로 채집하여 4℃에 보관한다.
- 2) 무균작업대에 20㎖의 샘플을 1분 동안 교반한 후 100㎕의 폐기물을 유전자변형 미생물에 선발표지로 사용된 항생제(kanamycin 등)를 첨가한 각 미생물별 최적 고체배지에 3반복으로 도말하여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절한 배양온도에서 적정 생장 시간 동안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.
- 3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
3.3 공정폐수 수집 및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검출
- 공정 폐수 처리 전후 시료를 각각 20㎖씩 3 반복을 채취하여 4℃에서 보관한다. 폐수에 살아있는 유전자변형 미생물 수 분석을 위해 다음 세가지 방법을 제시한다.
3.3.1 직접 도말법
- 1) 이 방법은 폐수에서 미생물 함량이 높을 것으로 예측될 때 적용된다.
- 2) 무균작업대에 20㎖의 폐수 샘플을 1분 동안 교반하여 100㎕의 폐수를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선발표지 유전자 해당 항생제(kanamycin 등)를 첨가한 각 미생물별 최적 고체배지에 도말한다(3반복 수행).
- 3) 배지를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절한 배양온도에서 적정 생장 시간 동안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.
- 4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
3.3.2 농축 도말법
- 1) 20㎖의 폐수를 원심분리기기를 이용하여 5,000rpm, 4℃, 30분간 원심분리한다. 상층액 18㎖를 제거하고 2㎖ 만을 남긴다(10배 농축).
- 2) 농축된 폐수를 교반하여 균질화한 후 200㎕ 의 농축폐수를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선발표지 유전자 해당 항생제(kanamycin 등)를 첨가한 각 미생물별 최적 고체배지에 도말한다(3반복 수행).
- 3) 배지를 1시간 동안 무균작업대에 방치한다.
- 4) 배지를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절한 배양온도에서 적정 생장 시간 동안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.
- 5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
- 6) 유전자 변형 미생물로 확인된 코로니의 CFU/㎖를 아래 공식으로 도출한다.

3.3.3 여과배양법
- 1) 무균작업대에 20㎖의 폐수 샘플을 1분 동안 vortex 한 다음에 0.2㎛ 여과지가 포함된 analytical funnel 장치를 이용해서 여과한다.
- 2) 여과된 filter를 접촉면을 위로하여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선발표지 유전자 해당 항생제(kanamycin 등)를 첨가한 각 미생물별 최적 고체배지에 올려놓고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절한 배양온도에서 적정 생장 시간 동안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.
- 3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