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정시설

생산공정시설 내 유전자변형 미생물 모니터링

1. 실험목적
1.1 실험목적
  •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배양 및 생산 공정 과정에서 유전자변형 미생물이 밀폐이용시설에서 외부로 유출되어 유전자변형 미생물 이용구역 내의 대기중으로 유출된 경우를 가정하여 이를 검출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. 이를 위하여,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된 유전자변형 미생물 이용시설 내부에서 부유, 낙하, 시설표면 등의 비의도적 유출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방법을 제시한다.
1.2 실험배경
  • 현재, 실내 환경 중 미생물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충돌법, 자유낙하법, 표면검출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. 충돌법은 세균배양용 배지가 장착된 채취기(총 부유 세균 포집기, 관성충돌기)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채취 시 공기 중 미생물이 기기에 미리 장착된 배지에 충돌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중 총 부유 세균을 채취하고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용이한 측정 과정, 높은 채취 효율성, 시료의 적정 희석 및 배지 도말 과정을 생략하고 배양과정만 거치면 완료되는 편의성 등으로 실내 부유 세균 농도 측정 시 활용도가 높다. 자유낙하법의 경우 검출용 고체배지를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노출시켜 실시간으로 낙하하고 있는 미생물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채취하기가 매우 쉽고 시료의 적정 희석 및 배지 도말 과정을 생략하고 배양과정만 거치면 완료되어 매우 간단한 방법이다. 표면채취법은 특정 범위의 표면에서 시료를 채취해 도말하여 포집하는 방법으로 낙하균과 달리 이미 벽 표면, 장비 표면 등의 표면에 있는 미생물 등 표면에 낙하한 부유 미생물만을 채취할 수 있다.
2. 실험장비(도구) 및 재료
2.1 실험기자재
  • - 실내공기 총 부유 세균 포집기(관성충돌기, 그림 1)
  • - 무균작업대
  • - 항온배양기
  • - 냉장고
  • - Micro Pipette (1-10㎕, 20-200㎕, 100㎕-1000㎕)
  • - 고압증기멸균기

  • 그림4 관성충돌기 예시(켐익코퍼레이션 KAS-120 모델)
2.2 실험재료
  • - 3M pipette swab PLUS(NaCl 0.85 %)
  • - 유전자변형 미생물 배양 배지 (예를 들어, Luria-Bertani (LB) agar (Escherichia coli); Luria-Bertani (LB), Brain Heart Infusion (BHI) agar (Corynebacterium glutamicum); 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 (YPD) agar (Saccharomyces cerevisiae))
  • -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선발표지유전자 해당 항생제
  • - 지퍼백
  • - 파라필름
  • - 아이스박스
  • - Spreader
  • - 70 % 에탄올(EtOH)
  • - Micro Pipette tip (1-10㎕, 20-200㎕, 100㎕-1000㎕)
  • - 미생물 배양용 멸균 Petri dish
3. 실험과정
3.1 관성충돌법
  • 1) 시료 채취 전, 유전자변형 미생물을 배양하고자 하는 고체배지를 제조한다. 멸균 처리된 액체 상태의 고체배지에 항생제를 넣어 항생제 배지를 만든다. 항생제의 활성도 보존을 위해 항생제 배지는 채취 전날에 만드는 걸 권장한다. 제조된 항생제 배지는 4 ℃ 냉장고에 넣어 보관한다. 이동 시 아이스박스에 넣어 4 ℃ 온도를 유지하여 항생제 활성의 저하를 막는다.
  • 2) 항생제 배지를 관성충돌기에 장착전, 실내온도와 평형화하여 배지 내에 물기가 생기지 않게 한다.
  • 3) 관성충돌기는 국가법령정보센터에 게시된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법 (참고 1)에 따라 내부 벽에서 1 m 이상, 바닥으로부터 1.5 m 위치에 설치한다.
  • 4) 관성충돌기는 측정하고자 하는 생산 이용시설에서 1 m, 5 m 간격으로 설치한다.
  • 5) 항생제 배지 설치 시 오염방지를 위해 사용 전, 관성충돌기 흡입구 쪽을 70 % 에탄올을 사용하여 소독한다.
  • 6) 관성충돌기는 국가법령정보센터에 게시된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법에 따라 유량 250 L를 20분 간격으로 3회 포집한다. 참고로 유량 및 시간은 관성충돌기 제품에서 세팅이 가능하다.
  • 7) 실내공기가 포집된 배지는 포집 위치, 날짜를 작성 후 파라필름 혹은 지퍼백을 사용하여 외부와 차단한 후, 아이스박스에 담아 실험실로 옮긴다.
  • 8) 운반한 배지는 항온배양기에 넣어 사용된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정 생장온도 및 생장 시간에 맞춰서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.
  • 9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
  • 10) 총부유세균의 농도 계산(CFU/m3)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한다.



  • 그림 2. 관성충돌기 설치 예시
3.2 자유낙하법
  • 1) 시료 채취 전, 유전자변형 미생물을 배양하고자 하는 고체배지를 제조한다. 멸균 처리된 액체 상태의 고체배지에 항생제를 넣어 항생제 배지를 만든다. 항생제의 활성도 보존을 위해 항생제 배지는 채취 전날에 제조하는 것을 권장한다. 제조된 항생제 배지는 4 ℃ 냉장고에 넣어 보관한다. 이동 시 아이스박스에 넣어 4 ℃ 온도를 유지하여 항생제 활성의 저하를 막는다.
  • 2) 식약처의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(참고2)에 따라 벽과 30 cm 이상 떨어진 바닥에서 포집한다.
  • 3) 낙하균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되는 곳에 항생제 고체배지의 뚜껑을 열고 30분간 방치하여 포집한다. 포집 시 한 구역당 3개의 항생제 고체배지를 배치한다(그림 3)
  • 4) 낙하균 시료 포집 시 항생제 배지 내에 오염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.
  • 5) 낙하균을 포집한 항생제 배지는 파라필름 혹은 지퍼백을 사용하여 외부와 차단한 후, 아이스박스에 넣어 실험실로 운반한다.
  • 6) 운반한 배지는 항온배양기에 넣어 사용된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정 생장온도 및 생장 일수에 맞춰서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.
  • 7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

  • 그림 3. 자유낙하법 배지 설치 예시(붉은 원)
3.3 표면균
  • 1) 시료 채취 전, 유전자변형 미생물을 배양하고자 하는 고체배지를 제조한다. 멸균처리된 액체 상태의 고체배지에 항생제를 넣어 항생제 배지를 만든다. 항생제의 활성도 보존을 위해 항생제 배지는 채취 전날에 제조하는 것을 권장한다. 제조된 항생제 배지는 4 ℃ 냉장고에 넣어 보관한다.
  • 2) 채취하고자 하는 표면 위에 채취틀(가로 10 cm X 세로 10 cm)을 사용하여 위치를 명확하게 한다(그림 7).
  • 3) 표면을 3M pipet swab 등을 사용하여 표면균을 채취한다. 채취 시 가로, 세로, 대각선 총 3회를 꼼꼼히 문질러 시료를 채취한다(그림 8).
  • 4) 채취한 pipet swab을 채취 위치, 날짜, 시간을 작성하여 아이스박스에 넣어 실험실로 이동한다.
  • 5) 운반한 시료는 무균대에서 100 ul의 샘플액을 항생제 배지에 도말한 후, 항온배양기에 넣어 사용된 유전자변형 미생물의 적정 생장온도 및 생장 일수에 맞춰서 배양한다. 단, 미생물 군집(colony)의 크기가 작은 경우 12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권장한다.
  • 6) 항생제 저항성 균주 코로니가 발생한 경우 PCR 분석법을 이용하여 균주가 해당 유전자 변형 미생물인지 확인한다. PCR primer는 도입유전자와 주변 염기서열 부위를 포함하게 디자인한 event-specific prim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.

  • 그림 7. 표면검사용 채취틀 예시


  • 그림 8. 샘플링 방법 예시


  • 그림 9. 바닥 및 배양기 표면균 샘플링 예시
4. 주의사항
  • 1) 측정이 오차를 줄이기 위해 측정 위치 주변에 최대한 사람의 활동이 없는 상태에서 샘플링한다.